1. 신림근린공원
-
위치 : 관악구 미성동 1707-1 일대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91,000㎡
2. 장군봉근린공원
-
위치 : 관악구 신림동 산1-1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130,000㎡
3. 상도근린공원
-
위치 : 관악구 봉천동 산101-42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627,000㎡
-
주요식물 : 리기다소나무,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때죽나무, 상수리나무
-
상도공원의 주봉인 국사봉은 글자 그대로 양녕대군이 이 산에 올라 나라를 생각하고 임금을 걱정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양녕대군은 왕세자로서 스스로 실적을 저질러 폐세자가 되어 왕의 자리를 동생에게 물려준 뒤 대궐에서 쫓겨났지만 그는 형제 간에 우애가 지극하여 이 산에서 멀리 경복궁을 바라보며 나라와 세종의 일을 걱정했다고 한다.
4. 백제요지근린공원
-
위치 : 관악구 남현동 산67-1 일대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16,000㎡
5. 관악산도시자연공원
-
위치 : 관악구 신림동 산94-2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도시자연공원
-
미집행면적 : 14,299,000㎡
-
특산식물 : 소사나무, 호랑버들, 매화말발도리, 산앵도, 산개나리, 병꽃나무, 회양목, 긴잎회양목, 산구절초, 할미밀빵, 토현삼 등 11종
희귀식물 : 산구절초, 박주가리 용담, 노루발풀
천연기념물 : 노거수 굴참나무, 은행, 느티, 회나무 -
관악산은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과 금천구 시흥동, 독산동과 경기도 안양시, 과천시에 걸쳐있다. 관악산(높이 629m)은 1973년 관악구가 영등포구에서 분리되면서 명산으로서의 산 이름이 구의 명칭이 되어 관악구의 상징이자 자랑이 되고 있으며, 관악구 문화유산의 대부분이 관악산에서 비롯되었다. 1968년에 건설부 고시 제34호로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수많은 서울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처로 서울의 명소가 되었다.
관악산 정상에는 지상 레이더 관측소와 조선 태조 이성계가 서울을 도읍지로 정할 때 연주사와 원각사 두 절을 지어 화환에 대처했다고 하는 정상의 원각사와 연주암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사찰과 암자가 있는데 아슬아슬한 벼랑 위에 자리 잡고 있는 연주대는 관악산의 모든 등산로가 집결하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