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북한산도시자연공원
-
위치 : 종로구 구기동 산3-1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도시자연공원
-
미집행면적 : 4,463,000㎡
-
서식동물 : 포유류 12종, 조류 87종, 양서류 7종, 파충류 6종, 곤충류 447종
포유류 : 노루, 삵, 오소리, 너구리, 족제비, 고슴도치,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두더지, 집쥐, 등줄쥐, 생쥐, 집박쥐 -
북한산 도시자연공원은 크게 2개 지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은평구 녹번동과 서대문구 홍은동 지역에 위치하고 또한 종로구 평창동과 구기동 성북구 정릉동, 성북동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북한산은 원래 하나의 공원이었으나 1983년 주요 지역의 대부분이 북한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됨에 다라 면적도 좁아지고 분산되었다.
1968년 개통된 북악스카이웨이 능선을 따라 팔각정에 다다르면 예전 신혼여행의 추억에 잠겨 찾는 관광객 및 서울시민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유명하다. 북악스카이웨이 좌우 측에는 소나무, 단풍나무, 장미, 야생 초화 등 새로 단장되어 한껏 아름다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2. 인왕산도시자연공원
-
위치 : 종로구 부암동 산22-1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도시자연공원
-
미집행면적 : 1,894,000㎡
-
인왕산은 해발 338.2m로 화강암이 유난히 노출된 것이 특징이다. 경북궁의 주산을 중심으로 인왕산은 서울 내사산의 우백호에 해당되며 안산인 남산은 능선이 매우 부드럽고, 좌청룡인 동쪽의 낙산은 밋밋하고 얕은 지세이다. 인왕산의 주봉은 둥글 넓적하면서도 남산같이 부드럽거나 단조롭지 않다. 또한 뾰족한 북악처럼 유달리 뛰어나지는 않지만 늠름한 남성적인 산세이다 인왕산은 불법의 수호신으로 사문 또는 수미단 전면의 좌우에 안치하는 금강역사로서 둘 다 용맹하고 험악한 얼굴을 가지며 일명 이왕 또는 금강신이라 한다.
3. 북악산도시자연공원
-
위치 : 종로구 삼청동 산2-1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도시자연공원
-
미집행면적 : 1,742,000㎡
-
주요식물 : 소나무, 단풍나무, 느티나무, 팥배나무 외 30여종
-
현재 북악은 청와대가 있어 일반인의 등산이 금지되어 있으나 1967년까지는 청와대 뒤의 북악 일대도 가벼운 등산길이었다. 그러나 1968년 1월 21일 북한 무장공비들이 이곳까지 침투해 온 사건이 발생하여 수도권 경비강화를 목적으로 북악스카이웨이를 만들고 등산길은 폐쇄하였다.
숙정문과 창의문 사이에는 성곽옆에 1.21사태 소나무가 생육중이다.
북악산도시자연공원에는 서울성곽 18.627km의 탐방코스중 4대문 중 북대문인 숙정문에서 4소문중 북소문인 창의문 구간 약 2km의 코스가 있다.
창의문 외곽에는 북악산도시자연공원은 아니지만 생태경관보호지역으로 백사실계곡이 인접하여 있다.
4. 삼청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삼청동 25-1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704,000㎡
-
주요식물 : 소나무 외 15종 200,000주
-
삼청공원은 1940년 3월 12일자로 공원으로 지정되었는데 당신 고시된 140개 도시계획공원중 제1호로 삼청동은 깊은 골안에 도교의 삼청전, 즉 소격전이 있었던 연유로 인하여 내려 온것이라고도 하고 혹은 산, 물과 그곳에 사는 사람이 맑아서 삼청동이 되었다고 하기도 한다. 삼청공원은 호젓한 산책로에 주위 경치가 좋아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곳으로 고려충신 정몽주와 그이 어머니의 시조비가 있으며 공원입구에서 산책로를 따라 계곡을 서서히 올라가면 삼청공원 약수터가 나온다. 예부터 이름난 약수터를 찾는 시민들의 발길이 아직도 끊일줄 모르고 오염되지 않는 맑은 물을 맛볼 수도 있다.
특히 공원주변에 오래된 벚꽃이 많아 매년 4월경 아름다운 벚꽃을 구경하려는 시민들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공원내 배드민턴장, 테니스장, 어린이 놀이터, 다목적 공터 및 매점 등이 있어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5. 와룡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명륜동3가 산2-14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72,000㎡
-
와룡근린공원은 삼청근린공원, 창경근린공원, 북악산 도시자연공원이 연접해 있는곳으로 용이 길게 누워있는 형상을 하여 와룡동이라고도 하고, 1914년 부제 실시에 따라 이전 중부 정선방의 이동, 누동, 수문동, 승문동, 마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창덕궁, 돈화문이 있는 지대이므로 나라의 상서인 와룡, 봉익의 이름을 따서 와룡동이라고 하며 동에서 서로 길게 늘어져 있다. 와룡근린공원은 토심이 얕아 수목생육이 어렵고, 아카시나무 등으로 산림이 조성되었으나 주민들이 생명의나무 천만그루 심기 행사에 스스로 참여하여 수목을 심고 가꾸어 푸르름과 계절별 아름다운 꽃이 피는 공원으로 변모하고 있다.
6. 원서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창덕궁길 19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10,000㎡
7. 낙산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동숭동 산2-10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195,000㎡
-
주요식물(수목식재) : 소나무 등 47종 107,603주
주요식물(지피식물) : 구절초 등 11종 43,075본 -
낙산은 서울의 형국을 구성하던 내사산(남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의 하나로 풍수지리상 주산인 북악산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이다. 이렇게 소중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는 낙산은 일제의 강점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부분 파괴 · 소실되었고 특히 60년대 이후의 근대화 과정에서 무분별한 도시계획으로 인해 아파트와 주택이 낙산을 잠식한 채 오랜 시간 방치되어 역사적 유물로서의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공원녹지확충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낙산을 근린공원으로 지정하고 주변의 녹지축과의 연결을 도모하면서 낙산의 모습과 역사성을 복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8. 숭인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동망산길 150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45,000㎡
가9. 수송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수송동 80-7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4,000㎡
가10. 청진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청진동 146-3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3,000㎡
가11. 이문어린이공원(미조성)
-
위치 : 종로구 인사동 210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어린이공원
-
미집행면적 : 4,000㎡
가12. 서린소공원(미조성)
-
위치 : 종로구 서린동 82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소공원
-
미집행면적 : 1,000㎡
가13. 탑골근린공원
-
위치 : 종로구 종로 99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15,000㎡
나14. 새문안어린이공원
-
위치 : 종로구 신문로2가 108-9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어린이공원
-
미집행면적 : 300㎡
나15. 신문로어린이공원(미조성)
-
위치 : 종로구 신문로2가 160-1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어린이공원
-
미집행면적 : 1,000㎡
나16. 덕수소공원(미조성)
-
위치 : 종로구 신문로1가 174-5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어린이공원
-
미집행면적 : 1,000㎡
나17. 광화문어린이공원(미조성)
-
위치 : 종로구 신문로1가 158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어린이공원
-
미집행면적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