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대문구(04)

1.​ 궁동근린공원

  • 위치 : 서대문구 연희동 산118-1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164,000㎡

  • 주요식물(수목) : 왕벚나무, 소나무, 히말라야시더, 배롱나무, 대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느티나무, 대왕참나무 등
    주요식물(초화) : 맥문동, 수호초, 사사, 세덤류, 바위솔류

  • 서대문구 연희동 산 118번지 일대에 있는 산지형 근린공원으로서 연접 연희 시범아파트가 노후되어 아파트 10개동을 철거하고 공원 및 실내체육관을 조성하였다. 인왕산에서 안산으로 이어진 산줄기는 안산 서쪽으로 서대문구청을 감싸고 모래내의 남쪽으로 연하여 연희 1동의 104.3m 봉우리 등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동여지도」에 보면 104고지 지맥 남쪽에 옛 연희궁이 표시되어 있다. 궁동공원과 연접한 이른바 104고지라고 불리우는 이곳은 6.25전쟁 중 인천상륙작전 후 서울수복을 위한 격전지로 유명하다.

2. 안산도시자연공원

  • 위치 : 서대문구 봉원동 산1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도시자연공원

  • 미집행면적 : 1,901,000㎡

  • 주요식물(수목) : 자작, 산벚, 물푸레, 잣나무, 소나무, 팥배, 상수리, 오리나무, 아까시나무
    주요식물(초화) : 구절초, 기린초, 노루오줌, 꽃무릇 등

  • 해발 295.9m의 안산은 인왕산에서 서쪽으로 비스듬히 뻗어 무악재를 이루고 솟은 산이다. 길마재의 다른 이름인 무악재는 모악재로 부르기도 하였으며, 조선왕조가 개창 되어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면서 무악은 궁궐의 주산으로 주목되기도 하였다. 식생은 연희동 지역인 서, 남측 연희동 지역은 자작, 산벚, 물푸레, 잣나무 등 1990년도부터 환경림으로 양호한 수림을 형성하고 있으며, 북동부 암반지역은 왜소한 소나무, 산정부 일대는 팥배, 상수리, 오리나무가 분포하고 남동 측 임야는 대규모 아까시나무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3. 백련근린공원

  • 위치 : 서대문구 홍은2동 산11-1번지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1,364,000㎡

  • 주요식물(수목) : 소나무,느티나무,산벚나무,상수리나무 등
    주요식물(초화) : 맥문동, 수호초 등 

  • 백련산 정상(높이 215.5m)에서 능선을 경계로 서대문구와 은평구로 나누고 있으며 백련산은 동남쪽에 백련사라는 절이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예부터 동쪽의 청련사, 남쪽의 삼막사, 북쪽의 승가사와 함께 서백련으로서 도성의 4대 비보사찰 가운데 하나로 전해지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이 절의 서쪽에 있어서 '서방정 정토사'라고 하였는데, 어느 여름날 연못에서 갑자기 하얀 연꽃이 피어올라 백련사라 명칭을 바꾸었다고 한다. 백련산 정상(높이 215.5m) 등산로 주변에 체력단련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4. 북한산도시자연공원

  • 위치 : 서대문구 홍은동 산1-85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도시자연공원

  • 미집행면적 : 4,463,000㎡

  • 서식동물 : 포유류 12종, 조류 87종, 양서류 7종, 파충류 6종, 곤충류 447종
    포유류 : 노루, 삵, 오소리, 너구리, 족제비, 고슴도치, 멧토끼, 청설모, 다람쥐, 두더지, 집쥐, 등줄쥐, 생쥐, 집박쥐

  • 북한산 도시자연공원은 크게 2개 지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은평구 녹번동과 서대문구 홍은동 지역에 위치하고 또한 종로구 평창동과 구기동 성북구 정릉동, 성북동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북한산은 원래 하나의 공원이었으나 1983년 주요 지역의 대부분이 북한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됨에 다라 면적도 좁아지고 분산되었다.
    1968년 개통된 북악스카이웨이 능선을 따라 팔각정에 다다르면 예전 신혼여행의 추억에 잠겨 찾는 관광객 및 서울시민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유명하다. 북악스카이웨이 좌우 측에는 소나무, 단풍나무, 장미, 야생 초화 등 새로 단장되어 한껏 아름다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서대문1
서대문2
서대문3
서대문4
  • 블랙 블로거 아이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