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동작구(06)

1.​ 보라매근린공원

  • 위치 : 동작구 신대방동 395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414,000㎡

  • 주요식물 : 은행, 느티, 버즘, 모감주, 소나무, 병꽃나무 등 105종 334,671주

  • 보라매공원은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395번지 대방로 219 일대인 옛날 공군사관학교 자리를 1985년 12월 20일에 보수하여 1986년 5월 5일 개원하면서, 공군사관학교 때의 상징인 "보라매"를 그대로 이름에 사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잔디광장, 에어파크, 연못(음악분수), 다목적운동장, 인조잔디축구장, 배드민턴장, X-게임장, 암벽등반대 등이 있고, 맨발공원 등 휴양 시설과 각종 편익 시설도 구비되어 있다.
    특히, 비행기 8대가 전시되어 있는 에어파크는 옛 공군사관학교의 정기를 느낄 수 있으며, 공원 내에는 한국 자유총연맹 서울시 지회, 한국청소년연맹, 서울시립보라매청소년수련관, 동작구민회관, 서울시립지적장애인복지관, 남부장애인복지관, 동작경찰서보라매파견소와 2010년 5월 개관한 시민안전체험관 등 11개 기관이 입주하고 있다.

2. 노량진근린공원

  • 위치 : 동작구 흑석동 211-33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246,000㎡

  • 주요식물 : 소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상수리나무, 아까시나무, 계수나무, 모과나무, 회화나무

  • 1940년 공원으로 지정되어 축구장,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조깅트랙 등의 운동시설과 주차장을 만들어 생활체육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원이다. 다목적운동장, 인공폭포 대방동 아파트 숲 사이에 위치한 이곳은 인공폭포, 공군 충혼탑, 운동장, 장애인 운동시설, 조깅트랙, 오솔길 등이 있어 다양한 여가를 즐길 수 있으며 화장실, 음수대가 설치되어 있다. 향후, 도로로 인해 분리된 곳에 생태다리를 건설하여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시킬 계획이다.
    '노량진근린공원'은 당초 하나의 공원이었으나 도시계획 사업 등으로 인해 현재는 6개 지구(조성된 공원)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 다음의 공원 명칭과 병기하여 통용되고 있다. (대방, 고구동산, 장승, 송학대, 용마산, 절고개)

3. 상도근린공원

  • 위치 : 동작구 상도동 산75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627,000㎡

  • 주요식물 : 리기다소나무,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때죽나무, 상수리나무

  • 상도공원의 주봉인 국사봉은 글자 그대로 양녕대군이 이 산에 올라 나라를 생각하고 임금을 걱정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양녕대군은 왕세자로서 스스로 실적을 저질러 폐세자가 되어 왕의 자리를 동생에게 물려준 뒤 대궐에서 쫓겨났지만 그는 형제 간에 우애가 지극하여 이 산에서 멀리 경복궁을 바라보며 나라와 세종의 일을 걱정했다고 한다.

4. 용봉정근린공원

  • 위치 : 동작구 본동 산3-9 일대

  • 공원분류 : 자치구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81,000㎡

5. 현충근린공원

  • 위치 : 동작구 상도동 산49-118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823,000㎡

6. 까치산근린공원

  • 위치 : 동작구 사당동 산32-2 일대

  • 공원분류 : 시공원 / 근린공원

  • 미집행면적 : 443,000㎡

  • 주요식물 : 리기다소나무,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때죽나무, 상수리나무

  • 옛날에 수목이 우거지고 까치가 많다고 붙여진 까치고개가 있어 까치산공원으로 명명하였으며, 2005년 6월 도로 개설로 인해 끊어졌던 공원에 2개의 아치형 생태 다리가 세워져 관악산까지 산책로가 연결되어있다.

동작1
동작2
동작3
동작4
동작5
동작6
  • 블랙 블로거 아이콘
bottom of page